날씨 이미지
  • 오늘, 완도기온

참여민원

[간호학]Shock Down

작성일
2014-04-05
등록자
노영주
조회수
72
첨부파일(0)

[간호학]Shock Down

첨부파일 : 간호학 Shock.hwp
다운경로 : http://www.jisik114.net/search/detail.asp?pk=11032901&sid=korea072




[간호학]Shock

Shock

① 정의

Shock은 대량 출혈, 심한 외상이나 화상, 광범위 심근경색, 심한 폐색전증, 제어할 수 없는 패혈증등, 신체의 동적평형을 심하게 깨뜨리는 타격후에 일어날 수 있는 순환 허탈상태를 말한다.
즉, 혈액량 또는 심박출량의 감소, 또는 혈액의 어느 곳에의 저류등으로, 유효순환혈액량(effective blood volume)이 감소함으로 말미암아, 세포와 조직에 광범위한 저관류5(hypoperfusion)를 일으키는 상태로, 전신적으로 세포와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의 공급이 안되고, 노폐물의 배출이 어렵게 된다.
이러한 산소공급의 차질은 혐기성 대사를 유발시켜, 유산의 산생이 증가하여, 산성혈증이 되며,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세포와 조직은 비가역성 상해를 입게 된다.

② 개괄

생명 기관(vital organ)들의 충분한 관류 유지는 생존에 필수적이다.
기관 관류는 적절한 관류압에 좌우되며, 관류압은 두 변수, 즉 심박출량과 전신성 혈관저항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후자는 혈관의 길이와 혈액의 점도에 비례하며, 혈관 반경의 4제곱에 반비례한다.
그러므로, 혈관의 횡단면이 혈류 저항에 가장 중요한 결정 요소이다.
혈관 평활근의 긴장도가 세동맥(혈관계에서 전신성 저항의 주요 장소)의 횡단면을 조절하기 때문에, 평활근 긴장에 영향을 미치는 어떤 변수도 혈관 긴장과 관류압에 큰 영향을 미친다.동맥압의 두 번째로 중요한 결정 요소는 심박출량으로, 이것은 일회 박출량(stroke volume)과 맥박수의 소산이다.
(일회 박출량은 Preload, Afterload, Myocardial contractility의 3가지 주요한 변수의 함수이다.)

생리적 기전들은 위에 언급된 변수중 하나 혹은 그 이상에 작용함으로써 동맥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들 기전에는 ⓐ아데노신같은 혈관확장 대사산물의 국소적 유리나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키거나 수축시키는 물질의 내피세포로부터 분비, ⓒ자율 신경계의 활성과 신경계 고위 중추에 의해 조절받는 뇌간의 혈관운동성 중추와 압력수용체 반사에 의한 이러한 활성의 조절, ⓓ부신 수질과 교감신경 말단에 의한 카테콜아민인 에피네프린이나 노르에피네프린의 혈류로의 분비, ⓔ레닌-안지오텐신계의 작용, ⓕ바소프레신의 분비, ⓖ키닌과 프로스타글란딘 등의 혈관확장제의 분비, ⓗ체액과 전해질 균형 조절을 통한 혈관내 용적 변화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모든 기전들이 혈관 저항과혹은 심박출량을 변화시킴으로써 동맥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몇몇 기전의 통합된 작용을 통하여 휴식중인 젊은 건강한 성인에서 평균 동맥압(전체 심주기 동안의 평균 압력)이 90-100 mmHg의 비교적 좁은 범위내로 유지된다.


③ 원인과 발병기전

병태생리학적으로 다음의 몇가지로 나눌 수 있다.

ⓐ 심장성 shock: 펌프 역할의 장애이며, 심박출량의 감소에 따른 혈압저하가 주된 발병기전이 된다.

ⓑ 저용적성(hypovolemic) shock: 혈액의
10-15 % 이상을 잃었을 때, 또는 화상, 구토 및 설사로 혈장을 상응한 정도로 잃었을 때 볼 수 있다.
그 이하를 잃었을 때는 혈관 수축, 심 박동수의 증가, 심근의 수축성 증가등의 대상성 적응으로 혈압이 유지되나, 적응의 범위를 벗어나면 shock에 빠진다.

ⓒ 패혈성 shock: 그람-음성균에 의한 것이 대부분이고, 주된 인자가 이 균의 내독소이다.
따라서 내독소성(endotoxic) shock이라고도 한다.
발병기전은 매우 복잡하여 아직까지 그 전모를 매끈하게 설명할 수는 없으나, 주로 말초혈관의 확장으로 말초저항이 감소하여 혈압이 떨어짐과 동시에 혈액의 말초내 저류로 유효순환혈액량이 감소하고, 따라서 심박출량의 감소, 저혈압,세포와 조직내 저관류가 일어나는 것이 주된 기전으로 알려져 있다.
내독소는 그람-음성균 세포벽 산물로 lipid A 또는 peptidoglycan으로 부르며, 혈액응고계와 보체계등 기존의 각종 매개물들도 직접 활성화킬 뿐 아니라, 내피세포, 백혈구 및 혈소판등 세포의 세포막에 상해를 주고, 또 이들 세포로 부터 각종의 생물활성 매개물들이 유리되게 하여 서로 복잡하게 얽혀있는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들의 감별점은 심장성 및 저용적성 shock에서는 혈압을 상승시키기 위한 대상성 반응인 교감신경작용으로 말초혈관이 수축하여 창백하고, 차고, 축축한 피부를 보이는 반면, 초기 내독소성 shock에서는 심박출량도 정상이고, 따뜻하고, 건조한 피부를 보인다.
한편, 근래에 shock상태에서 여러가지 물질이 생산되어 shock을 더 심화시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이들 물질을 shock의 2차 매개물이라 한다.
이 물질들은 대개 동물실험에서 알려진 것으로 히스타민, 루코트리엔, 프로스타그란딘등 염증 화학 매개물들과, 카테골아민, 안지오텐신계 등의 홀몬계등이나 심근억제인자 등이 있다.

※ 해리슨 내과학에서의 Shock의 분류

CARDIOGENIC SHOCK

Myopathic (reduced systolic function)

Acute myocardial infarction

Dilated cardiomyopathy

Mechanical

Mitral regurgitation

Ventricular septal defect

Ventricular aneurysm

Arrhythmic

EXTRACARDIAC OBSTRUCT

IVE SHOCK

Pericardial tamponade

Constrictive pericarditis

Pulmonary embolism (massive)

Severe pulmonary hypertension (primary or Eisenmenger)

Coarctation of the aorta

OLIGEMIC SHOCK (HYPOVOLEMIC SHOCK)

Hemorrhage

Fluid depletion

DISTRIBUT

IVE SHOCK

Septic shock

Toxic products,
e.g., overdose

Anaphylaxis

Neurogenic shock

Endocrinologic shock

④ shock의 발전단계

ⓐ 초기 대상성 shock: 유효순환혈액량의 감소가 크지 않아, 대상성 적응이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혈압과 심박출량이 대체로 유지되는 상태로, 임상적으로 간과되기도 한다.

ⓑ 진행성 비대상성 shock: 대상성 shock에 다른 요소가 부가되어 shock 상태가 지속됨으로써 일어나게 된다.
혈압과 심박출량이 감소하고, 폐관류의 감소와 폐부종으로 인한 호흡궁박증등으로 인하여 빈호흡도 나타난다.
신장관류가 줄어 핍뇨와, 혐기성 대사로 유산성 산성혈증도 나타난다.
간관류가 줄어 생산된 유산을 처리하지 못하여 산성혈증은 더 깊어진다.
관상동맥 질환이 있는 환자는 심근경색도 일어날 수 있다.

ⓒ 비가역성 shock: 임상적인 용어로, 혈액역동학적 장애를 교정하여도 악화일로의 진행을 돌이킬 수 없는 상태를 말한다.
심근억제인자등도 작용하여 심박출량과 혈압은 점점 떨어지고, 산성혈증도 깊어진다.
뇌, … Down



..... (중략)






제목 : [간호학]Shock Down
출처 : 지식114 자료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5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간호학]Shock
파일이름 : 간호학 Shock.hwp
키워드 : 간호학,Shock



문서종류 : HWP 파일
다운받기 : http://www.jisik114.net/search/detail.asp?pk=11032901&sid=korea072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 연락처 :
  • 최종수정일 : 2023-04-21
  • 조회수 :4,257,48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