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이미지
  • 오늘, 완도기온

참여민원

조선대학교 최양호 교수님의 \"이미지 관리와 커뮤니케이션\" 입니다.

작성일
2014-04-02
등록자
이숙민
조회수
126
첨부파일(0)

조선대학교 최양호 교수님의 \"이미지 관리와 커뮤니케이션\" 입니다.


자료보러가기 ▶▶▶▶▶ http://me2.do/58WrBw83


분량 : 100 페이지 /zip 파일
설명 : 조선대학교 최양호 교수님의 \"이미지 관리와 커뮤니케이션\" 입니다.

자료 구성은 내용정리 + 10년 퀴즈 + 11년 퀴즈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말 고사 시험은 퀴즈가 5지선답으로 변형 되어 출제 됩니다.

이미지퀴즈 1
<첫 번째 퀴즈>
1. 다음 중 학자나 이미지 컨설턴트가 생각하는 이미지(image)에 대한 정의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남과 나를 차별화시키는 개인 브랜드 전략
② 따뜻한 카리스마
③ 머리 속의 그림
④ 중요한 어젠다(agenda)
정답 : 4
2.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은?
① 공중 커뮤니케이션은 미디어를 매개로 불특정 다수에게 보내는 커뮤니케이션이다.
② 자아 커뮤니케이션의 연구 주제는 자아존중과 자기 인식이다.
③ 대인간 커뮤니케이션의 이용매체는 면대면, 전화이며, 연구 주제는 관계 형성, 갈등 해결이다.
④ 회사의 결재서류는 조직 커뮤니케이션의 이용매체에 해당한다.
정답 : 1
3. 미디어 이용과 충족이론은 미디어를 이용하는 수용자가 적극적이고 목적지향적인 존재라는 것을 전제하는 이론이다.
①.O ②.X
정답 : O
4. 침묵나선형 이론의 특성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① 중앙 일간지의 뉴스기사의 지속적인 반복성
② 방송보도내용과 신문보도기사의 차별성
③ 시공간을 초월해서 언제든지 접할 수 있는 라디오, 잡지 등의 편재성
④ 신문 방송 등의 특정 사건에 대한 획일적 보도 양상
정답 : 2
5. 면대면 대화 상황에서 여성은 옆자리에서 대화하는 것을 더 편안하게 생각하는 반면에 남성은 앞에서 대화하는 것을 더 편안하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①.O ②.X
정답 : X
6. 인터넷 게임을 오래 하다 보면 현실과 게임을 혼돈하게 된다는 이론은 문화계발 이론에 해당한다.
①.O ②.X
정답 : O
7. 미국의 언론인 월터리프만은 1922년 여론이라는 책에서 이미지에 대한 논의를 전개했다. 그가 생각하는 이미지를 가장 적절하게 잘 표현한 것은?
① 개인이 자신이나 상대방에 대해 가지고 있는 고정관념
② 직접 보고 들을 수 없는 주변 환경이나 인물에 대한 의사환경을 머릿속에 그려보는 상
③ 개인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쟁점들을 사전에 발견해 대응하는 커뮤니케이션
④ 개인에 대한 이미지를 차별화시키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전략
정답 : 2
8. 이미지 관리 PR을 할 경우 이미지 메이킹 등도 중요하지만 경청, 대화, 설득, 토론 등의 커뮤니케이션 기술이 더 중요하다.
①.O ②.X
정답 : O
9. 목소리 톤은 비언어적 메시지이다.
①.O ②.X
정답 : O
10. 이미지 관리 PR은 PI(Personal Identity)와 유사한 이미지 관리 전략이다.
①.O ②.X
정답 : O

< 두 번째 퀴즈>
1. 가산원리 보다는 평균원리가 첫인상에 더 강력한 영향을 행사한다.
①.O ②.X
정답 : O
2. 참여도(participation)란 단일 감각이 반응하는 정보밀도를 의미한다.
①.O ②.X
정답 : X
3. 포부수준이론은 현재의 대인 관계에 만족하는지 여부를 비교 수준으로 판단한다는 이론이다.
①.O ②.X
정답 : O
4. 다음 중 옳지 않은 것을 고르시오.
① 사람들이 서로 대화할 때 스키마가 작동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② 자기충족적 예언은 스키마나 스크립트를 통해 이루어진다.
③ 피그말리온 효과는 칭찬과 격려에 대한 긍정적 효과라 말할 수 있다.


자료보러가기 ▶▶▶▶▶ http://me2.do/58WrBw83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 연락처 :
  • 최종수정일 : 2023-04-21
  • 조회수 :4,257,93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