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이미지
  • 오늘, 완도기온

참여민원

컴퓨터통신언어[2] 국어국문학과 2학년 언어와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 Up

작성일
2014-03-29
등록자
배병욱
조회수
56
첨부파일(0)

컴퓨터통신언어[2] 국어국문학과 2학년 언어와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 Up

첨부파일 : 컴퓨터통신언어 2 .hwp
다운경로 : http://www.jisik114.net/search/detail.asp?pk=11040619&sid=korea072




국어국문학과 2학년 언어와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언어의 자료를 직접수집 조사하여 분석해보시오. 1. 컴퓨터 통신언어에 대한 문제..

국어국문학과 2학년 언어와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언어의 자료를 직접수집 조사하여 분석해보시오.

1. 컴퓨터 통신언어에 대한 문제제기

2. 컴퓨터 통신언어의 언어적 특성

2.1. 음운적 특성

1) 없애고 줄임

2) 덧붙임

3) 바꿈

4) 된소리적기와 소리나는 대로 적기

5) 홑소리적기

2.2. 형태적 특성

1) 섞음말(blend)

2) 줄임말(abbreviation)

3) -님

2.3. 어휘적 특성

1) 은어(cant) 사용

2) 비속어(slang) 사용

3) 통신 메타언어(meta-language)생성

4) 상징어(symbolic word) 사용

5) 방언(dialect)의 확대

6) 상징 기호(symbolic sign) 사용

3. 컴퓨터 통신언어 극복방안

3.1. 부정적 측면

3.2. 긍정적 측면

3.3. 해결방안 -교육적 방법을 중심으로

4. 결론

5. 참고문헌

1. 컴퓨터 통신언어에 대한 문제제기

컴퓨터는 정보화 사회의 핵심 수단이다.
컴퓨터의 등장으로 좀 더 손쉽게 정보를 보관하고, 검색하고, 출력하고, 전달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이런 컴퓨터는 이용의 편리함에 전문적인 분야에서 점점 인류의 일상에 이용되기 시작하였고 급속하게 진보되었다.
진보된 컴퓨터는 이제 컴퓨터 고유의 공간을 만들게 되었는데, 그것이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이 거대한 컴퓨터 네트워크는 인간의 상상력과 결합하여 현실과는 다른 가상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컴퓨터에 의해 형성된 가상의 공간은 현실이 가진 제약에서 벗어나는 즉, 말 그대로 거짓과 상상이 존재할 수 있는 공간이 되었다.
여기에 컴퓨터 네트워크가 가지는 익명성은 현실에 대한 일탈을 가속시키게 된다.
이처럼 가상공간에서 발생하는 일탈은 컴퓨터 통신에서 사용되는 언어에도 영향을 미친다.

컴퓨터 통신언어란 넓게는 컴퓨터 통신에서 사용하는 모든 관련 용어 및 문장을 뜻한다.
일반적으로는 초기 컴퓨터 통신의 채팅에서 주로 사용되는 언어 중 일반언어와 다른 변이된 언어를 말한다.
물론 지금에 와서는 주로 채팅에서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전자우면 및 전자게시판 등 모든 컴퓨터 통신상에서 쓰여지는 변이된 언어를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컴퓨터 통신 언어활동은 주로 전자우편, 전자게시판, 채팅 등으로 이루어지는데, 전자우편과 전자게시판은 직접성이 없는 반면 채팅의 경우는 직접적이어서 다자간 실시간 교류가 가능하다.

통신망의 대중적 보급은 컴퓨터 통신언어가 일상에서 무리 없이 사용되는 계기를 만들었다.
이에 힘입어 컴퓨터 통신언어는 기존 언어의 틀을 과감히 깨뜨리고 있으며, 그 영향력이 온라인을 넘어서 오프라인까지 미치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급격한 언어변이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언어변이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언중의 언어사용이 언어변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처럼 컴퓨터 통신언어는 이미 우리의 언어생활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다.
따라서 올바른 언어생활을 영위하고 바람직한 언어문화를 조성하기위해서는, 컴퓨터 통신언어에 대해 정확히 알고 그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모색하려는 연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한다.
지금부터는 컴퓨터 통신언어의 언어적 특성을 음운적 형태적 어휘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 통신언어의 부정적 긍정적 측면을 규명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겠다.

2. 컴퓨터 통신언어의 언어적 특성1)



2.1. 음운적 특성

1) 없애고 줄임

음운을 없애거나 줄이는 것은 채팅언어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이다.
그리고 거기에 채팅언어가 입말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입말에서 소리 줄임이나 소리 없앰과 비슷한 현상으로 나타난다.
그런데 채팅언어가 입말보다 소리 없앰이나 줄임이 더 심한 것은 속도와 시각성이라는 두 가지 환경 때문이다.
채팅언어가 입말의 글말화라고 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때 글말이 입말보다 속도에서 느릴 수밖에 없는 것을 소리 없앰이나 줄임으로 해결한다.
그리고 글말의 시각적인 표현 효과로 형태적인 줄임이나 없앰으로도 담화 상황이나 맥락으로 충분히 상대에게 의사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리의 줄임이나 없앰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홀소리를 없애거나 줄이는 것이다.
홀소리는 입말에서도 쉽게 줄여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닿소리는 울림소리 닿소리가 쉽게 없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채팅언어에서도 쉽게 없애지 않는다.


결국 통신언어에서 소리를 줄이거나 없애는 것은 담화 표현에서 표현의 경제성에 절대적으로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 현상 또한 담화자가 정보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주는 쪽으로 변화되는 것이 아니라, 정보 이해의 적절성에 적합한 쪽으로 변화한다는 것이다.

(1) 사이 홀소리 없애고 줄임: 설(서울), 설대(서울대), 앤(애인), 셤(시험), 낼(내일), 화욜(화요일), 맘(마음), 담(다음), 실음(싫으면), 겜(게임), 언냐(언니야), 션(시원), 첨(처음), 멜(메일), 열분(여러분)

(2) 끝 홀소리 없애고 줄임:잼(재미), 넘(너무), 암튼(아무튼), 글죠(그렇죠), 울(우리)

(3)음절를 없애기: 하튼(하여튼), 들와서(들어와서), 솩(수학)

(4) 하나 이상의 소리를 없애고 줄임: 근데(그런데), 어케(어떻게), 어솨요(어서와요), 어뇽(안녕), 금(그러면), 함(하면), 금(그럼), 걍(그냥), 방가(반갑습니다), 땜에(때문에)

(5) 닿소리만 적기:ㅎㅎㅎㅎ, ㅋㅋㅋㅋ, ㅊㅋㅊㅋ

2) 덧붙임

음절 끝소리에 닿소리를 덧붙이는 현상이 있다.
이것은 상대에게 인상을 강하게 심으려는 의도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용언의 끝소리에 붙이는 소리로 가장 특징적인 것이 /ㅇ/ 소리이다.
이것은 /ㅇ/소리가 다른 소리보다 아름다운 소리로 인식되기 때문에 /ㅇ/ 소리를 덧붙여 친근감과 상대에게 좋은 음성적 인상을 주려는 의도에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2). 그리고 /ㅁ/, /ㅂ/과 /ㅅ/음과 같은 입술 닫힌 소리를 덧붙임으로써 상대에게 표현상 변화를 주어 강한 인상을 주려고 하거나 단순히 어형에 변화를 주어 딱딱함을 없애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 ㅂ: 옙, 넵, 엽

(2) ㅅ: 굿바잇,

(3) ㅇ: -용, -당, -징

(4) ㅁ: 텀, -욤, -뎀

(5) 음절 늘임: 없어설(없어서), 자알(잘), 그러엄(그럼), 캄수아(감사)

(6) -여체: 보이잖여, 말이여, 시러여, 어디학교예여, 어서와여, 졌어여,학교네여, 해여, 어디다니세여, 할꺼여, 방가해여, 아녀, 여고딩이여, 아녀,… Up



..... (중략)






제목 : 컴퓨터통신언어[2] 국어국문학과 2학년 언어와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 Up
출처 : 지식114 자료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10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컴퓨터통신언어[2] 국어국문학과 2학년 언어와생활 공통 교재 1장을 참고..
파일이름 : 컴퓨터통신언어 2 .hwp
키워드 : 컴퓨터통신언어,국어국문학,학년,언어와생활,공통,교재,참고,국어국문학,2학년,1장



문서종류 : HWP 파일
다운받기 : http://www.jisik114.net/search/detail.asp?pk=11040619&sid=korea072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 연락처 :
  • 최종수정일 : 2023-04-21
  • 조회수 :4,259,314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