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이미지
  • 오늘, 완도기온

참여민원

[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 (첨부1)

작성일
2014-03-28
등록자
채희근
조회수
259
첨부파일(0)

[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 (첨부1)

첨부파일 : 사회과학 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hwp
다운경로 : http://www.jisik114.net/search/detail.asp?pk=11064527&sid=korea072




[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



국어학개론

`목차`

1. 서론

2. 음성학

3. 음운학

4. 형태론

5. 통어론

6. 방언학

7. 의미론

8. 계통론

9. 한국어사

10. 어휘론

11. 문자론

12. 결론

1. 서론

- 한국어교사가 되려하는 사람들에게는 한국어학이 중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물론 개별언어학인 한국어학과 일반언어학의 관계는 완전히 별개의 것이 아니라 상호 보완적이라서 둘 다 중요하긴 하지만 나와 한국어교사가 되려는 사람들이 가르치려는 한국어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나온 것이 한국어학이 아닐까한다.
이런 한국어학의 분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하나하나 알아보기로 하자.

2. 음성학

(1) 음성학이란

-뜻을 전달하기 위해서 음성기관을 이용해서 내는 소리를 ‘말소리’라 하고 ‘말소리’를 대상으로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분야를 음성학이라 한다.

-조직이나 다른 말소리와의 관계는 중요하지 않고 오직 하나하나의 소리의 특질만 연구.

(2) 음성학의 분류

1)영역에 따른 분류

-조음음성학 : 음성이 만들어지는 과정, 조음기관이 음을 조음할 때 어떤 자리에서 어떤 방법으로 조음하는지를 연구. 발동부에서 발음부까지의 생리현상을 연구한다.
‘생리음성학’이라고 부르기도 함.

-음향음성학 : 공기를 통해 전달되는 소리 자체(음파)의 물리적 특성을 연구.

-청취음성학 : 청자가 귀로 소리를 듣고 그것을 음성으로 파악하는 과정을 연구.

2)대상에 따른 분류

-개별음성학 : 한국 음성학, 영어 음성학과 같이 특정 언어의 음성을 연구하는 것.

-일반음성학 : 모든 언어의 음성을 연구하게 되는 학문 분야.

(3) 소리가 나는 원리

1) 음성기관

-발동부 : 발동부란 정지되어 있는 공기를 움직이게 하는 기관으로 폐가 주된 역할을 한다.
그러나 때에 따라서는 후두, 후부구강이 발동 기능을 하는 경우도 있다.

-발성부 : 폐에서 나온 공기를 소리로 바꾸어(만들어)주는 곳으로 성대를 일컫는다.

-발음부 : 발성부에서 만들어진 소리를 각각 분화(조율)하는 기관으로 후두(인두)에서 입술까지 입안의 여러 기관을 말한다.

보통 크게 이 세 가지로 분류하지만 공명부를 음성기관으로 추가하기도 한다.

-공명부 : 소리에 공명을 일으키게 하는 기관으로 인두, 입술강, 입안, 비강 등이 이에 속한다.

2) 소리를 분화하는 조건

-조음 방법에 따라 : 성대를 통과한 소리는 고정부(조음 위치)와 능동부(조음자) 사이를 통과하면서 독자적인 소리의 가치를 가지게 되는데 고정부와 능동부 사이를 통과하는 방법은 세가지가 있다.

능동부가 고정부에 닿았다가 떨어지면서(터지면서) 소리가 나는데 이렇게 능동부가 고정부에 닿았다가 순간적으로 터지면서 나는 소리를 터짐소리(파열음)라 한다.

능동부가 고정부에 가까이 붙어서 좁은 공깃길을 만들고 이렇게 좁혀진 공깃길 사이를 통과하면서 발생하는 소리를 갈이소리(마찰음)라 한다.

터짐과 갈이가 거의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있다.
터짐과 갈이를 동시에 수반하는 소리를 불갈이소리(파찰음)라 한다.

-고정부에 따라 : 조음 위치는 고정부라 하기도 하는데, 크게 다섯 부분으로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윗입술소리, 이잇몸소리, 센입천장소리, 여린입천장소리, 인두소리가 그것인데 이는 다시 세분하여 이잇몸소리는 아랫니와 윗니 사이에서 발음하면 이사이소리(치간음), 이의 뒷면에서 발음하면 잇소리(치리음), 이와 잇몸의 경계에서 발음하면 이잇몸소리가 된다.
또 센입천장소리와 여린입천장소리도 앞, 가운데, 뒤로 나눈다.

-능동부에 따라 : 조음자는 능동부라고도 하는데 혀와 아랫입술이 여기에 포함된다.
발음할 때 비교적 활동이 자유로워 고정부에 닿는 부분인 아랫입술과 혀를 말하는데, 능동부도 아랫입술, 혀끝, 앞혓바닥, 뒤혓바닥, 혀뿌리 등 다섯 부분으로 나눈다.

3) 고정부와 능동부의 관계

-소리는 고정부와 능동부가 가장 가까이 접근한 곳에 소리기운이 통과함으로 변별하게 된다.
그러나 모든 나라 사람들이 말소리로 모든 소리를 내는 것은 아니고 나라 소리마다 내는 위치와 방법이 다른데 한국어의 경우는 양입술소리는 있으나 이잇몸소리는 없다.
우리말 소리 가운데는 다섯 개의 조음위치에서 벗어나는 소리가 변별적 기능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목청소리(성대파열음)이 그것이다.

(4) 한국어의 변이음들

1) 변이음

-사람의 소리는 무한하다.
사람이 ‘고향’이라는 말을 계속 해도 그 소리를 분석한다면 똑같은 소리는 나지 않는다.
그러나 사람이 듣고 인식하는 소리는 오직 /고향/과 [태어나서 자란 곳]일 뿐이다.
그러나 소리 내는 위치와 방법을 살피면 이 세 소리는 물리적으로 모두 다른 소리임을 알 수 있다.
같은 음소 안에서 다양하게 발음하는 소리를 조음 방법(유무성, 내파외파, 울림도), 조음위치에 따라 분류한 것을 변이음이라 한다.

2) 대표변이음

-같은 음소 안에 있는 변이음들은 모두 같은 자격을 가진다.
한국어 /ㅂ/의 변이음은 [p],[b],[ß],[p] 네 가지인데 이 네 가지의 변이음은 모두 동등한 자격을 가진다.
그러나 동등한 자격을 가진 변이음 가운데 대표 변이음을 뽑아 놓으면 변이음이 실현되는 규칙을 설명하거나 음소를 표기하는데 매우 용이하게 쓰인다.
그래서 변이음 가운데서 대표가 되는 변이음을 뽑는데 이렇게 뽑은 변이음을 대표변이음(으뜸변이음)이라 하고 나머지 변이음을 버금변이음이라 한다.
대표변이음은 임의적으로 하나를 정해도 문제가 없지만 기준을 정해서 뽑는 것이 변이음의 실현 규칙을 설명하기 편리하다.

대표 변이음을 뽑는 기준

- 배치의 제한을 덜 받는 소리를 정하는 것이 좋다.

- 음성적 환경의 영향을 안 입었거나 덜 입은 것을 대표로 뽑는 것이 좋다.

- 이러한 조건이 적용되기 어려울 때는 임의로 어느 한 편을 대표로 뽑는다.

대표 변이음과 음소의 관계

-대표 변이음은 한 음소안의 여러 음성 가운데에서 인위적으로 한 개를 뽑아 대표를 맡긴 것이며, 음소는 대표변이음과 버금변이음을 모두 합친 것이 된다.

결합변이음과 임의변이음

-결합변이음 : 환경이 배타적이어서 다른 변이음으로만 소리 나는 변이음을 말한다.

-임의변이음 : 환경의 지배를 받지 않고 말하는 사람에 따라 서로 다르게 발음되는 변이음.

ex) 신문(sin/sim)

3. 음운학

(1) 음운학의 연구 목적과 대상

-음운학은 머릿속에 들어있는 말소리에 관한 지식을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 된다.

음운학의 연구 대상

① 음소목록 ② 음소체계 ③ 음소의 제약 ④음운 규칙 ⑤ 음소 체계의 변화 ⑥ 낱말의 변화



(2) 음운 체계

1) 홀소리와 닿소리… (첨부1)



..... (중략)






제목 : [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 (첨부1)
출처 : 지식114 자료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18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사회과학]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
파일이름 : 사회과학 국어학개론 - 한국어의 분야 정리.hwp
키워드 : 사회과학,국어학개론,한국어,분야,정리,한국어



문서종류 : HWP 파일
다운받기 : http://www.jisik114.net/search/detail.asp?pk=11064527&sid=korea072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 연락처 :
  • 최종수정일 : 2023-04-21
  • 조회수 :4,259,225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