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씨 이미지
  • 오늘, 완도기온

참여민원

[논문] 중국고전미학에서 “象”의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레포트다운자료

작성일
2014-03-17
등록자
곽승호
조회수
116
첨부파일(0)

[논문] 중국고전미학에서 “象”의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레포트다운자료

첨부파일 : 논문 중국고전미학에서 `象`의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hwp
다운경로 : http://www.reportdown.co.kr/search/detail.asp?pk=11022181&sid=korea072




[논문] 중국고전미학에서 “象”의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중국고전미학에서 “象”의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1)

<目 次>



Ⅰ. 머리말

Ⅲ. 예술형상으로서의 “象”



Ⅱ. 철학적 개념으로서의 “象”
1. “意象”


1. “象”범주의 출현
2. “興象”


2. “立象以盡意”

Ⅳ. 맺음말


3. “觀物取象”

Ⅰ. 머리말

중국고전미학에서 뒷날 시론과 문론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여러 범주 중 가장 대표적이며 기본적인 것으로 “象”의 범주를 들 수 있다.
≪老子≫와 ≪繫辭傳≫ 등의 문헌에서 그 모습을 보이고 있는 “象”은 일차적으로 “言” 그리고 “意”의 개념과 구별됨으로써 보다 깊은 철학적 의미를 띠게 된다.
다시 “形”과 “興” 그리고 “意”의 개념과 합해져서 “形象”, “興象” 그리고 “意象”이라는 새로운 비평술어를 만들어 내고 있다.
그때마다 “象”은 개념적 변화를 겪게 된다.
철학적 의미로서의 “象”에서 예술형상으로서의 “象”이 된 것이다.
특히 “意”와 연용되면서 “意象”이라는 중국고전문학과 미학에서의 중요한 범주를 형성한다.
“境生於象外”, “取之象外” 등의 개념에 의해 “境”의 범주가 만들어지며 이는 “意境說”의 시초가 된다.
결국 “意境說”은 “意象說”의 기초 위에서 만들어지는 과정을 우리는 볼 수가 있다.

본 고는 중국고전미학에서 “象”이 이와 같은 시대적 변천을 거치면서 개념이 변화되어 가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Ⅱ. 철학적 개념으로서의 “象”

1. “象”범주의 출현

“象”은 최초로 ≪易經≫에서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易經≫의 점술적 기능을 철학적 기능으로 승화시킨 ≪易傳≫, 특히 ≪繫辭傳≫에서도 마찬가지로 “象”에 대해 재해석을 내리고 있기 때문에 우선은 ≪老子≫에서 언급하는 “象”부터 살펴봐야 할 것 같다.

위로는 밝음이 없고 아래로는 어둠이 없다.
이와 같이 그윽하고 깊은 것을 뭐라고 형용할 수 없어서 결국은 無의 저쪽으로 되돌아간다.
이것을 상황이 없는 상황, 형상이 없는 형상이라 부른다.

其上不 , 其下不昧, 繩繩不可名, 復歸於無物. 是謂無狀之狀, 無物之象.1)

도라는 것은 없는 것 같으면서도 있고, 가득 찬 것 같으면서도 비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속에 우주의 형상을 갖고 있으며, 천지만물을 담고 있다.
그것은 깊고도 어두우나 그 속에는 모든 생명과 물질의 원리와 본질을 갖고 있다.

道之爲物, 惟恍惟惚. 惚兮恍兮, 其中有象, 恍兮惚兮, 其中有物.2)

가장 큰 모서리에는 가장자리가 없으며, 가장 큰 그릇은 정해진 모습이 없다.
가장 큰 소리는 들을 수 없고, 가장 큰 형상은 볼 수가 없다.

大方無隅, 大器晩成, 大音希聲, 大象無形, 道隱無名. 夫唯道, 善貸且成.3)

“道”에 대한 묘사를 하기 위해 “象”의 개념이 도입된 말이다.
“無物”이라는 철학적 범주 속에 있는 “象”, 그리고 “형상이 없는 형상”으로서의 “大象”은 바로 “道”를 가리키고 있다.4) 이들의 철학적 사유 속에 나오는 “象”의 의미는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형상” 혹은 “사물의 모습”으로서, “象”은 “道”에 포함되며 “道”에 의해 “象”이 만들어진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이들 문장은 “象”과 “道”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고립적이고 유한적인 “象”으로서는 “道”를 체현할 수 없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하지만 여기에서의 “象”은 철학의 사유 속에 머물 뿐 어떠한 예술적 사유 혹은 예술적 형상과의 관계를 내포하고 있지 않다.

≪老子≫에서 보이는 “象”의 기본적이고 고립적인 개념은 ≪易傳≫의 ≪繫辭傳≫에 이르러 “象”의 범주가 보다 선명하게 두드러지고 있다.
≪繫辭傳≫에서 ≪易經≫의 “象”을 설명한 대목을 살펴보자.

≪易≫이란 짓이요, 짓이란 것은 꼴이다.

易者象也, 象也者像也.5)

≪易經≫의 “象”은 사물의 움직이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고, 또 마찬가지로 사물의 정체된 모습을 말한다.
이는 ≪老子≫에서 보였던 “象”의 정지되고 유한적이며 고립된 개념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사물의 움직이는 모습까지를 포함하고 있다.
“사물의 움직이는 모습(象)”이란 인간사의 여러 가지 이치까지를 밝히고 있음을 말한 것이며, 이는 “象”의 개념이 정적인 것에서 동적인 것으로의 확대이며, 동적인 것에서 다시 추상적인 부분까지 확대된 것으로 볼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구절에 대한 孔潁達은 ≪周易正義≫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무릇 ≪易經≫이란 것은 짓으로서, 물상을 가지고서 사람의 일을 밝히는 것이다.
이것은 ≪詩≫로써 비유하는 것과 같다.
때론 천지와 음양의 짓을 취하여 義를 밝히는 것으로 ≪乾≫의 “潛龍”, “見龍”, ≪坤≫의 “履霜”, “堅 ”, “龍戰”이 이에 속하는 것과 같다.
혹은 만물 잡상을 취하여 이로써 義를 밝히는 것이다.

凡易者, 象也, 以物象而明人事, 若詩之比喩也. 或取天地陰陽之象以明義者, 若乾之潛龍, 見龍, 坤之履霜, 堅 , 龍戰之屬是也. 或取萬物雜象以明義者.6)

≪易經≫은 “象”을 통해 의리를 표명하고, 팔괘와 육십사괘는 만물을 본뜬 것이며 또 만물의 형상을 모사한 것이며, 괘사와 효사는 천지 만물의 음양의 짓에서 취하거나, 때로는 만물의 잡다한 모습에서 취한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
이로써 ≪繫辭傳≫에서 나타나는 “象”의 개념은 ≪老子≫의 그것을 포함하고 있을 뿐 아니라 훨씬 발전하고 있다.
여기에서의 “象”은 여전히 사람의 의리를 밝힌다는 점에서 추상의 구체화라는 범주에 머물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변화는 “象”을 예술형상과 연관성을 갖게 한다.
이에 대해 葉郞은 다음과 같이 분석하고 있다.7)

“‘象也者像也’란 ≪易經≫의 ‘象’이 천지 만물의 형상[物象]의 모사이거나 寫照, 반영이라는 점을 긍정하고 있다”는 점을 들었다.
마찬가지로 예술형상도 자연계의 형상에 대한 반영이기 때문에 서로 상통하는 바가 있다는 것이다.
이들의 틀린 점으로는 “≪易經≫의 ‘象’이 반영하는 것이 모두 심미적인 것이 아닌 데 비해 예술형상은 반드시 심미적 반영이라는 점”이라고 했다.
이어서 그는 “≪易經≫의 ‘象’이 형상을 가지고 의리를 설명하는 점에 비해 예술형상은 형상을 가지고 情意를 표출하는 점에 있다”고 했다.
그러나 이 둘이 모두 “형상을 가지고 사회생활과 관계가 있는 내용을 표출하는 점에 있어서 서로 통하는 여지가 있다”고 했다.

이제 “象”은 고립적이며 객관적 물상의 모습이라는 개념으로부터 시작하여 차츰 객관적 물상들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그 의의를 찾게 되었고, “사물의 움직이는 모습”과 형상을 통해 “사람의 세상살이”를 밝힌다는 개념으로 발전해 나가면서 예술적 형상과 한 걸음 가깝게 나아가게 된 것이다.

2. “立象以盡意”

≪繫辭傳≫은 “象”의 개념을 확대시켰고, “象”이 “言”과 “意”라는 개념과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立象以盡意”의 명제를 제기하고 있다.

공자가 말했다.
글은 말을 극진히 하지 못하고, 말은 뜻을 극진히 하지 못한다.
그렇다면 성인의 뜻을 볼 수 없단 말인가 공자가 말하길, 성인은 象을 세움으로써 뜻을 극진히… -레포트다운자료



..... (중략)






제목 : [논문] 중국고전미학에서 “象”의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레포트다운자료
출처 : 레포트다운 자료실



[문서정보]

문서분량 : 19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논문] 중국고전미학에서 “象”의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
파일이름 : 논문 중국고전미학에서 `象`의 발전과정에 대한 고찰.hwp
키워드 : 논문,중국고전미학에서,“象”,발전과정,“象”,발전과정,대한,고찰



문서종류 : HWP 파일
다운받기 : http://www.reportdown.co.kr/search/detail.asp?pk=11022181&sid=korea072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담당부서 :  
  • 연락처 :
  • 최종수정일 : 2023-04-14
  • 조회수 :1,094,366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

만족도 조사